세상에서 가장 쉬운 영문법 19강 - 부가의문문
https://audioclip.naver.com/channels/2739/clips/19
여러분 안녕하십니까? 안 박사의 세상에서 가장 쉬운 영문법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저번 시간에는 명사 보어와 형용사 보어의 구별을 말씀드렸습니다.
오늘은 부가의문문에 대해 말씀드리겠습니다. 의문문에는 질문을 하기 위한 의문문만 있는 것이 아닙니다. 원어민들의 문화는 상업 문화이므로 신속하고 정확한 거래를 위해 자신의 말에 동의나 확인이 필요했을 것입니다. 자신의 말에 동의나 확인을 구하기 위해 사용하는 의문문을 부가의문문이라고 합니다.
<부가의문문의 형태>
① S+긍정 ~ , 부정+S?
② S+be동사 ~ , be동사+S?
③ S+조동사 ~ , 조동사+S?
④ S+일반동사 ~ , do동사+S?
⑤ Let’s ~ , shall we?
⑥ 명령문 ~, will you?
앞 문장이 긍정이면 부가의문문에는 부정을, 부정이면 긍정의 부가의문문을 사용합니다. 이때 부가의문문의 주어는 반드시 평서문에서 나왔던 주어가 한 번 더 나오므로 대명사를 써야 하며, 부정의 부가의문문에서는 반드시 축약형을 사용합니다.
앞 문장에 일반동사가 있을 때에는 인칭과 시제에 따라 do, does, did를 사용하고, 조동사와 be동사는 그대로 사용하며, 명령문은 will you?를 사용합니다. 또한 Let’s로 시작하는 부가의문문은 shall we?를 사용합니다. (매우 중요!!)
[Quiz] 다음 괄호 안에 알맞은 표현을 쓰세요.
(01) She cleaned the room, (didn’t she?)
(02) You are an English man, (aren’t you?)
(03) He has the book, (doesn’t he?)
(04) He has already finished his work, (hasn’t he?)
(05) You can’t swim, (can you?)
(06) Come again, (will you?)
(07) Let’s play tennis, (shall we?)
이것을 볼 때 왜 제가 조동사를 왜 강조했는지 이제 여러분께서는 잘 이해하시리라 믿습니다. 오늘 준비한 내용은 여기까지입니다. 안박사 영어연구소는 365일 항상 여러분과 함께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