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박사의 세상에서 가장 쉬운 영문법

세상에서 가장 쉬운 영문법 35강 - 조동사 must

Ahn Seong-jin 2020. 1. 29. 18:05

https://audioclip.naver.com/channels/2739/clips/35


여러분 안녕하십니까? 안 박사의 세상에서 가장 쉬운 영문법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저번 시간에는 조동사 should를 알아보았습니다. 필요, 당연, 명령, 주장, 권고, 요구, 유감 등을 나타내는 동사와 형용사가 주절에 있을 때 종속절  that절에는 「should+동사의 원형」의 형태로 쓰입니다. 오늘은 조동사 must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의무, 당연, 필요를 나타내는 must

예) She must come back by 9:00. 이때 중요한 것은 필요를 나타내는 must는 have to로 바꾸어 쓸 수 있습니다. must의 미래형은 will have to, must의 과거형은 had to가 됩니다.

예) He has to study English hard.  


2. 금지를 나타내는 must not

이때 must not은 may(허가)의 부정이 되어 ʻ~해서는 안 된다ʼ라는 강한 금지의 뜻을 갖습니다.

예) You must not smoke in here. 


3. 강한 추측을 나타내는 must

이때 must는 ʻ~임에 틀림없다ʼ라는 강한 추측을 나타내며, 이와 같이 강한 추측을 나타내는 must에 대한 부정은 ʻ~일 리가 없다ʼ라는 can not을 사용해야 합니다.

예) He must be i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