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audioclip.naver.com/channels/2739/clips/14
여러분 안녕하십니까? 안박사의 세상에서 가장 쉬운 영문법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저번 시간에는 전치사 + 명사상당어구에 대해 말씀드렸습니다. 전치사는 앞에 놓이는 말이라 했습니다. 전치사 뒤에는 명사상당어구가 나옵니다.
명사상당어구란 명사와 서로 비슷한 단어를 말하며 명사, 대명사의 목적격, 동명사를 말합니다. ‘전치사와 명사상당 어구’를 더하면 문법상의 단어로 형용사와 부사가 된다는 것입니다. 그러니까 형용사이므로 명사를 수식하고 보어가 되겠지요.
또한 부사이므로 동사, 형용사, 다른 부사, 문장 전체를 수식하며, 강조하기 위해 문두나 문미에 놓이며 문장에서 필요 없는 어휘가 되기도 합니다.
오늘은 종속접속사 + S + V에 대해 말씀드리겠습니다. 먼저 접속사는 등위접속사와 종속접속사로 이루어집니다. 여기서 등위접속사와 종속접속사를 잘 알아야 합니다. 등위접속사는 and, or, but, for, so, as(~처럼), than, nor입니다. 종속접속사는 등위접속사를 제외한 나머지로 that, if, when, because, as(~ 때문에), since, although, though, while, before, after ... 등 다양합니다.
종속접속사 앞의 주어 + 동사를 주절이라 부르고, 종속접속사 + S + V를 종속절이라 합니다. 종속절은 문법상의 단어로 명사와 부사가 됩니다. 흔히 전통문법에서의 명사절과 부사절이 됩니다. 문법상의 단어로 명사 혹은 명사절이 될 때는 문장에서 주어, 목적어, 보어 셋 중 하나가 될 것입니다.
또한 문법상의 단어로 부사 혹은 부사절이 될 때는 문장에서 동사, 형용사, 다른 부사, 문장 전체를 수식하며, 강조어구가 되어 문두로 도치가 되기도 할 것입니다. 그리고 문장 성분이 안 되므로 종속절을 없애고 주절만 가지고 말이 될 것입니다.
I think that we should be honest. 여기서 I think는 주절이고, that we should be honest 종속절입니다. that we should be honest는 종속절이므로 명사절 아니면 부사절일것입니다. 그렇다면 명사절일까요? 부사절일까요? 네, 항상 동사를 체크하라고 말씀드렸지요? 주절의 think가 타동사이므로 뒤에 목적어가 나옵니다. 그렇다면 that we should be honest는 명사절일 것입니다. 또 다른 예문을 보겠습니다.
I will tell him so when he will be back. 이 문장에서 <when he will be back>은 부사절입니다. 왜냐하면 I will tell him so까지 해서 문장이 완전합니다. 그러므로 <when he will be back>은 부사절입니다. tell은 목적어 두 개 취한 동사입니다. him이 간접목적어이고, so가 직접목적어입니다.
오늘 준비한 내용은 여기까지입니다. 안박사 영어연구소는 365일 항상 여러분과 함께 합니다.
'안박사의 세상에서 가장 쉬운 영문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세상에서 가장 쉬운 영문법 16강 - 의문사 (0) | 2019.10.01 |
---|---|
세상에서 가장 쉬운 영문법 15강 - 문장의 구조상의 종류 (0) | 2019.10.01 |
세상에서 가장 쉬운 영문법 13강 - 전치사 + 명사상당어구 (0) | 2019.10.01 |
세상에서 가장 쉬운 영문법 12강 - 문장 성분과 문법상의 단어 (0) | 2019.09.17 |
세상에서 가장 쉬운 영문법 11강 - 문법상의 단어 (0) | 2019.09.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