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박사의 세상에서 가장 쉬운 영문법

세상에서 가장 쉬운 영문법 5강 - 자동사와 타동사 구별

Ahn Seong-jin 2019. 8. 21. 08:12

https://audioclip.naver.com/channels/2739/clips/5#chapter


여러분 안녕하십니까? 안박사의 세상에서 가장 쉬운 영문법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저번 시간에는 영어 부정문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부정문을 만들 때 be동사, 조동사가 있는 문장에서는 be동사, 조동사 다음에 not을 사용하면 부정문이 되며, 일반동사가 있는 문장의 부정문은 일반동사 다음에 not을 사용했지만 점차 조동사 do를 쓰고 not을 쓴 다음 동사의 원형을 써서 부정문을 만들었다고 말씀드렸습니다. 그리고 왜 일반동사가 있을 때 전에처럼 동사 뒤에 not을 붙이지 않고 조동사 do를 가져와서 사용했는가를 말씀드렸습니다.


또한 오늘날 부정문이 아닌 긍정문에서 “I do love Jane.”, “I did love Jane.”과 같이 사용하는 경우는 동사를 강조하기 위해 사용하고 있다고 말씀드렸습니다. 오늘은 영어 70%를 차지하고 있는 동사 중 자동사와 타동사에 대해 말씀드리겠습니다.


영어 문장은 주어 다음에 동사가 나옵니다. 영어 문장의 중심은 동사이므로 동사를 다양하게 나타냅니다. 저번 시간에 보았던 be동사, 조동사, 일반동사로 동사를 구분하여 표현하듯이 자동사와 타동사, 과거 시제와 현재 시제, 능동태와 수동태 등 다양하게 동사를 표현합니다. 오늘은 자동사와 타동사를 말씀드리겠습니다. 


먼저 영어 문장은 어떤 문장이라도 동사를 보면 be동사, 조동사, 일반동사 중 하나이고, 자동사와 타동사 중 하나이며 과거 시제와 현재 시제 중 하나입니다. 그리고 능동태와 수동태 중 하나가 됩니다. 쉬운 예를 들어보겠습니다. “I have a dog.”에서 이 문장의 동사는 have입니다. 이때 have는 일반 동사이며, 타동사입니다. 그리고 현재 시제이며, 능동태입니다.


이처럼 영어의 어떤 문장이라도 이렇게 4가지로 말할 수 있어야 합니다. 자, 그렇다면 자동사와 타동사를 설명하겠습니다. 먼저 영어는 언어입니다. 그러므로 어떤 동사를 써 놓고 이 단어가 자동사입니까? 타동사입니까?라고 묻는다면 무의미한 질문입니다. 언어이므로 거의 모든 동사는 자동사와 타동사 둘 다 됩니다. 


여러분께서 생각하시더라도 자동사 타동사 둘 다 되어야지, 구분해서 쓴다면 어떻게 자연스럽게 의사소통할 수 있겠습니까? 말할 때마다 이 단어는 자동사이니 이렇게 말해야지... 이 단어는 타동사이니 이렇게 말해야지... 이러한 식으로 언어를 구사한다면 1분에 몇 마디 못 할 것입니다. 그렇다면 거의 모든 동사는 자동사, 타동사 둘 다 되므로 문장에서 구별해야 합니다. 


문장을 보고 동사 뒤에 목적어가 나와 있으면 그 동사는 타동사이고, 부사나 보어가 나와 있으면 그 동사는 자동사입니다. 한 마디로 타동사 뒤에는 목적어가 나오고, 자동사 뒤에는 목적어가 나오지 않습니다. 목적어는 우리나라말에 <~에게> 또는 <~을, 를>로 번역됩니다. 그러므로 동사 뒤에 나온 명사나 대명사가 <~에게> 또는 <~을, 를>로 번역이 되면 목적어가 되므로 앞에 있는 동사는 타동사입니다. 위의 예문을 다시 보겠습니다.


I have a dog.에서 “나는/ 가지고 있다/ 개 한 마리를.”이라고 번역이 됩니다. 그러므로 have는 타동사입니다. 다음 예문을 보시겠습니다. “I became a teacher.”에서 이 문장은 “나는/ 되었다/ 선생님이.”로 번역됩니다. 그러므로 became은 자동사입니다. 


여러분 영어는 7품사가 있습니다. 그 중에서 목적어가 되는 7품사는 명사와 대명사입니다. 그리고 보어가 되는 경우는 명사와 대명사, 형용사가 됩니다. 주어는 혹시 7품사 중 누가 됩니까? 네, 명사나 대명사가 됩니다. “I have a dog. I became a teacher.”에서 주어는 각각 대명사 I가 되고 있습니다. a dog는 목적어이고, a teacher는 보어입니다. 이것을 볼 때 영어 문장은 동사 앞에 있는 요소는 주어이므로 구별하기 쉽습니다. 


그러나 동사 뒤에 명사가 있을 때는 보어 아니면 목적어이므로 해석을 해서 <을, 를>로 번역이 되면 목적어가 되어 앞에 있는 동사는 타동사이고, <을, 를>로 번역이 안 되면  앞에 있는 동사는 자동사가 됩니다. 자, 다음 문장의 동사는 자동사입니까? 타동사입니까? "I taught English in the college." 네, 타동사입니다. 오늘 준비한 내용은 여기까지입니다. 다음 시간에 뵙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