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박사의 영어 숙어 클리닉

영어 안성호 박사의 네이버 오디오클립 14

Ahn Seong-jin 2019. 7. 26. 02:01

https://audioclip.naver.com/channels/2557/clips/14


제목: 전치사 on이 들어간 숙어

내용:  전치사 on이 들어간 숙어 중에서 let on의 의미를 알아본다.


여러분 반갑습니다. 안 박사의 영어숙어 클리닉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오늘 학습할 내용은 전치사 on에서 파생된 숙어를 let on을 알아보겠습니다. 전치사 37개 중에 전치사 on은 <접촉>의 의미를 갖지요. 위에서든 아래에서든 접촉의 개념이 있으면 전치사 on을 쓰시면 됩니다. <~위에> 라고만 알고 계시면 안 된다고 여러 번 강조했습니다.


접촉을 하려면 어떻게 해야 합니까? 계속 접근해야지요. 그래서 계속의 의미가 있습니다. 그리고 접근하려면요? 네,  동작을 진행해야할 것입니다. 따라서 <진행>의 의미가 있습니다. 또한 어떤 사물이나 사람에게 접촉을 하니까 우리는 그 사람과 그 사물에 <관하여> 잘 알게 됩니다. 이러한 이유로 <~에 관하여>라는 의미가 또한 파생됩니다. 한마디로 전치사 on하면 무엇이다? 네, 접촉입니다. 접촉에서 나머지 의미가 파생됨을 기억하십시오.


자 오늘은 <① 폭로하다  ② 누설하다  ③ 자백하다>의 의미를 가진 let on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let on은 <let 허락하다, ~하게하다, 들어 가게하다, 임대하다, 맡기다, 내보내다, 방출하다, on ~에게 접촉> 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에게 접촉하여 말을 내보니 폭로하고, 누설하고, 자백하는 것이 되지요.>


자, 하나의 예문을 보겠습니다. John knew the fact but he never let on. 이 문장을 의미단위로 번역해 보면 <John 쟌은,  knew 알았다, the fact 그 사실을, but 그러나, he 그는, never let 내보내지 않았다 그것에 대하여, on 누군가에게 접촉하여.> 이 문장에서 let 다음에 the fact를 가리키는 it이 생략되어 있고요, on 다음에는 someone가 생략되어 있습니다. 전체적으로 <쟌은 그 사실을 알았지만 누군가에게 폭로하지 않았다.>가 됩니다.


1974년에 엘튼 존과 그의 작사가 버니 토핀이 쓴 곡<Don't Let the Sun Go Down on Me〉 라는 제목이 있습니다. 이 문장은 글자 그대로의 의미에 충실해서 <Don't Let ~하게 하지 마세요, the Sun 태양이, Go Down 지도록 on Me 나를 비추고 있는 중인> 전체적으로, <태양이 내게서 지지 않게 해주세요.> <현재 내가 처하는 상황이 힘이 들어 목표로 하는 그 이상을 포기하지 않게 해주라는 내면의 자아에게 던지는 위로의 말>입니다.  


여기서 잠시 사역동사에 대해 말씀드릴까 합니다. 사역동사는 우리나라말로 <시키다>의 개념입니다. <make, have, let, help> 등이 있습니다. Mom made me clean my room. <엄마는 나에게 내 방을 청소하라고 시켰다.>처럼 make는 강제적으로 <~을 시키다/ ~을 하라>는 의미입니다. He had the children play outside. <그는 어린이들을 밖에서 놀게 했다.> 처럼 have는 강제성을 띌 수도 있고, 그렇지 않을 수 도 있습니다. 자기가 원하는 바를 다른 사람에게 행동하도록 하는 것입니다.


따라서 <~하도록 했다>라고 번역하시면 정확합니다. Let me know his name. <내가 그의 이름을 알게 해주세요. 즉, 그의 이름을 알려주세요.> Please let me know. <내가 알도록 해주세요 즉, 저에게 알려주세요.>처럼 let은 <허락한다>는 의미로 상대방이 원하는 바를 <~하게 해준다>는 뜻입니다. The dog helps him cross the street. <그 개가 그 사람이 길을 건널 수 있도록 도왔다.>처럼 help는 시키다보다는 <돕다>의 개념으로 아시면 됩니다. 다음 시간에도 여러분들의 영어 실력 향상을 위해 최선을 다하겠습니다.